사진박물관

조회수 406

Moment, LEE One Jea

카메라의 기능과 사진의 의미를 해체하다.


사진 박물관은 단순히 한국의 사진 발달사를 모아놓은 수집 공간이 아닌 우리의 과거사에서 사진이 갖는 의미를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하는 공간으로, 관람객으로 하여금 현재를 비롯한 미래에 사진이 우리 삶에서 어떤 역할과 의미를 지닐지 생각하게 하는 매개의 장소이다.


사진의 역할과 의미라는 본질적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카메라의 기능과 원리에 초점을 맞췄다. 건축물이 지닌 조형미와 전시작품의 예술적 가치가 동화된, 사진을 통한 사색과 공간을 통한 경험이 모두 일어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촬영의 필수요소인 빛이 모여 굴절되는 카메라의 ‘프리즘’을 형상화한 연결부를 계획하였다. 건물의 모든 곳이 전시공간이 되며, 관람객의 경험을 담는 카메라가 된다. 관람객이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 건물은 작품과 공간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View)을 제시한다. 관람객은 사진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전시된 작품과 함께 저마다의 경험으로 기록된다. 건물이 지닌 특성은 사진이 기록되는 원리와 사진을 감상하는 방법이 일치된 특별한 순간을 경험하게 한다.


박물관의 전시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시공간은 작품의 특성과 주제에 따라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전시공간은 작품의 성격과 전시 목적에 따라 1, 2, 3층의 특별 전시 공간과  스페셜 전시공간으로 구성하였다.




위치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대지면적

543.37 ㎡
건축면적

300.45 ㎡
연면적

1,000.48 ㎡
설계기간

2018.06 ~ 2019.05
공사기간

2019.08 ~ 2020.09 


이원재 LEE One Jea



ONE JEA LEE IS PRACTICING IN ARCHITECTURE AND IN VARIOUS INDUSTRIES IN SEOUL, KOREA, WHO RECEIVED MASTER DEGREE OF URBAN DESIGN FROM COLUMBIA UNIVERSITY AND B.A AND M.A IN ARCHITECTURE FROM THE UNIVERSITY OF KANSAS. HE IS A DIRECTOR DESIGN DIVISION AT HAENGLIM ARCHITECTURE AND ENGINEERING, AS WELL AS IS ADJUNCT PROFESSOR AT KUMIN UNIVERSITY, PROJECTS FOCUS ON LEE’S WORKS IN THEIR EVOLUTION FROM PURSUIT OF FREE-RANGE AND FREE-FORM EXPRESSION TO A METHODOLOGY FOR ORGANIZING AND DRAWING RELATIONSHIPS BETWEEN IDEOLOGIES, MATERIALS, CULTURE, AND THEOLOGY IN RELATION TO URBANISM AND DIGITALIZATION OF ARCHITECTURE.

     HIS MAIN FOCUS IS A CUTTING-EDGE TECHNOLOGY AND A.I IN BOTH ARCHITECTURE AND INDUSTRY. HE HAS BEEN RESEARCHING AND PUBLISHING HIS THESIS AND PAPER IN REGARDS TO “HOW TO UTILIZE ROBOT TECHNOLOGY IN ARCHITECTURE AND DIGITAL ARCHITECTURE TECHNOLOGY IN THE FUTURE.  

    THE PUBLISHMENT ARE “ROBOT-BASED FACADE SPATIAL ASSEMBLY OPTIMIZATION” IN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MULTI-AGENT-BASED URBAN VEGETATION DESIGN” I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AND “GENERIC DESIGN AIDED ROBOTICALLY FACADE PICK AND PLACE IN CONSTRUCTION SITE DATASET” IN DATA IN BRI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