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밀도_심해

조회수 572

The Density of Darkness_Deep Blue Sea, YOO Myoung Hee

공간의 밀도와 분위기를 체험하는 놀이공간은 가능한가? 이 프로젝트는 이 궁금증에 대한 실험이다. 어린이 놀이체험공간의 리뉴얼 프로젝트를 여러 차례 진행해 오면서, 종래의 서사적이고 정보습득을 강요하는 듯한 놀이체험공간의 구성에서 탈피하여 몸 자체로 느끼는 공간경험의 설계를 모색해 왔다.


마침 지역 육아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실내 ‘바다놀이터’의 일부공간을 재구성하는 프로젝트를 맡게 되었다. 해당공간에 ‘특별한 뭔가’를 디자인하기를 접어두고, 좌우로 긴 기존 전체 놀이공간에 배치된 바다놀이 테마들을 분석하였는데, 전체 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육지에서 점점 깊은 바다에 이르는 패턴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에 착안하여, 뭍에서부터 심해에 이르는 생태계 단면이미지를 긴 바다놀이터 전체에 매핑하고, 우리 설계 구간을 ‘심해’의 공간으로 재구성하여 전체의 스토리를 완성하였다.


한정된 공사비의 대부분은 밝고 일상적인 기존 바다놀이공간에서 어둡고 신비스러운 심해로 들어가는 ‘전이’의 경험에 투입하였다. 바다 속 공간을 헤엄쳐 심해로 들어가는 착각을 만들기 위하여 도입부부터 안쪽으로 점점 짙어지는 톤의 공간 레이어를 구축하였다.


공간 층들의 밀도를 통과하여 더 깊은 해저로 진입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심해장어의 오브제를 도입하였다. 심해의 질감을 대변하는 소프트한 요소들과 일렁이는 공간 변화는 심해 발광생물의 점진적인 빛과 색의 변화, 어둠속에서 들리는 미묘한 소리의 변화를 통하여 체험된다.


설계담당: 유명희 권서영 허수진@n_studio.usoa, 남하영@estudio_roble / 제작 및 시공: 고홍명+남하영@estudio_roble / 사진촬영: 권형대 @hyeoungdae_photo 




위치

울산광역시 중구
대지면적

-
건축면적

-
연면적

46.30 ㎡
설계기간

2019.10 ~ 2019.12
공사기간

2019.10 ~ 2019.12 


유명희 YOO Myoung Hee



울산대학교 건축학전공 교수. n_studio 대표. 건축사, 공학박사. 창조적 사용을 촉진하는 다차원 행동장치(behavior setting)로서의 건축 구현에 관심을 두고 다양한 공간 재구조화 프로젝트를 진행해 오고 있다. 학습자중심교육환경구축을 위한 설계프로세스를 연구했고 2019년부터는 울산광역시교육청 학교공간혁신프로젝트 총괄기획가로 활동 중이다.